본문 바로가기
녹색에너지 - 해상풍력칼럼

그린 뉴딜정책의 방향 그리고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by 한단계씩 2020. 9. 29.
반응형

 우리나라의 그린 뉴딜 정책 방향 

한국은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중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7%로 독일 29%, 영국 25%, 일본16%, 미국 15%등 주요국 대비 턱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이에 정부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바탕으로 2017년 말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을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16년 7%에서 2030년 20%까지 확대하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신규설비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할 계획으로 풍력은 2017년 설비용량이 1.2GW, 2018년 이후 16.5GW의 신규 설비 도입을 통해 2030년 설비용량을 2017년보다 약 15배 증가한 17.7GW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제가 본업이 해상풍력하부 구조물과 관련된 직종에 근무를 하기 때문에 풍력에 대한 전망을 주목해서 다뤄볼 생각인데 정부의 뉴딜정책과 맞물려 현재도 많은 이슈화가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정부가 가지고 있는 의지와 그외 국내외 해상풍력에 대한 흐름등을 집중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그 이후 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에 따르면 석탄과 원전비중 축소 LNG/신재생에너지 확대기조로 아래의 계획하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코로나19이후 중장기 경기부양을 위한 핵심 정책에서 풍력발전에 대한 확대 지원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결제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진하기 위한 과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방향과 비젼은 경제기반의 친환경·저탄소 전환을 가속화겠다는 의지인 그린뉴딜 정책입니다.


그린뉴딜

 -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전환

 -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 녹색산업혁신 생태계구축

상기 세가지 분야에 올해 추경부터 2022년 32.5조원, 2025년까지 73.4조원이라는 대규모 투자가 진행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관련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 용량을 

2019년 12.7GW → 2022년 26.3GW → 2025년 42.7GW로 확대계획(해당사업비는 22년까지 4.5조원, 25년까지 11.3조원)기존 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발표했던 목표인 2022년 17.3GW(태양광 12.9GW, 풍력 4.4GW), 2025년 28.0GW (태양광 19.5GW,  풍력 8.5GW)를 각각 50% 이상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해상풍력의 재조명

그린뉴딜 정책 중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입지 발굴을 위해 13개 권역의 타당성을 조사한 후 전남 영광에 실증단지를 구축

정부는 2030년까지 연평균 1.2GW 해상풍력을 신규 공급

우리나라는 총 23개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준비중이며, 총 3.7GW 계획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2029년 14조원을 투자해 고창 ~ 부안간 해상에 시범단지 400MW와 확산단지 2GW등 총 2.4GW의 해상풍력단지를 구축할 예정

제주도는 최근에 국내 최대 규모인 100MW의 제주한림해상풍력발전 개발사업을 승인

부유식해상풍력도 시장에 주목받고 있으며 2030년 1.2GW 부유식 해상풍력 구축 전망


해상풍력 구조물 

보통의 해상풍력은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나뉩니다. 고정식은 모노파일이나 JACKET구조물로 설치가 되며 부유식은 깊은 수심과 먼 해상에 설치가 가능한부분으로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향후 신재생에너지의 선두에서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만한 산업군으로 부각되기에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기술적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만큼 펀더멘털 유망 산업군으로 주목을 해야하겠습니다.